728x90

기술면접 준비 16

38-39 여러작업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계층구조

어플리케이션 - 운영체제를 플랫폼 삼아 작업하는 온갖 종류의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 한가지 기능만 있는 계산기 같은 어플리케이션도 있고, 여러가지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word나 excel도 있다. -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word나 excel 등은 다른 프로그램보다 훨씬 규모가 크고, 복잡한 알고리즘이 이용된다 - ex) input창에 값을 입력했을때, 화면에 정보를 바로바로 표시해주는거, 글자에대해 크기, 색상등을 선택할수 있게 하는거 등등 그 중에서 브라우저는 규모가 크고 간혹 오픈소스로 개발되는 어플리케이션이고, 다른 어플리케이션들보다 훨씬 복잡할 수 있다. (크롬, 사파리 등) - 일단 정보를 웹 서버에 보내고 받아오는 비동기 처리를 해야한다. - 사용자가 브라우저안에서 갑자기..

기술면접 준비 2022.06.09

소프트웨어 - 이진검색 / 선택 정렬 vs 퀵 정렬

https://joonokio.tistory.com/45 이진 검색(binary search) 전화번호부 책에서 이름을 찾는 방법 예시 1. 이름을 찾는 방법을 생각 해볼때 책의 중간쯤부터 보기 시작한다. 2. 만일 찾는 이름이 중간 페이지에 있는 이름보다 알파벳순으로(가나다 순)앞에 있으면 책의 뒤쪽 절반은 완전히 무시하고 앞쪽 절반의 중간 (책 전체의 1/4 지점)을 펼쳐 본다. 3. 그렇지 않으면 책의 앞 쪽 절반은 무시하고 뒤쪽 절반의 중간(책 전체의 3/4 지점)을 확인한다. 4. 이름이 알파벳 순(가나다 순)으로 나열되어 있으므로, 다음 단계에 어느 쪽 절반을 찾아야 할지 알 수 있다. 결국 그 이름이 있는 지점에 도달하거나 목록에 이름이 없음을 확실히 알게 된다. 위와 같은 방법처럼 각 확인..

기술면접 준비 2022.06.02

소프트웨어 - 알고리즘은 이상, 프로그래밍은 현실 / 다른 프로그램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알고리즘과 프로그램 알고리즘(Algorithm) 알고리즘은 세심하고 정확하고 명료하게 작성된 레시피나 납세 신고서의 컴퓨터 과학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데, 결과를 정확하게 계산하도록 보장된 일련의 단계다. 각 단계는 기본 연산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연산의 의미는 완전히 명시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정수를 더하세요. 처럼, 알고리즘을 이루고 있는 모든 구성 요소의 의미에 한치의 모호함도 있어선 안 된다. 입력 데이터가 어떤 유형이어야 하는지도 제공해야 한다. 알고리즘은 추상적이고 이상적인 절차를 기술한 것으로, 구현에 필요한 세부 사항과 현실적인 고려 사항을 무시한다. 의미가 완전히 알려져 있고, 구체적으로 명시된 기본 연산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알고리즘은 결국 멈춰야 한다. 프로그램(Program)..

기술면접 준비 2022.06.01

하드웨어 09 - 슈퍼컴퓨터와 사물인터넷

https://velog.io/@seonghyeon01/%EC%8A%88%ED%8D%BC%EC%BB%B4%ED%93%A8%ED%84%B0%EC%99%80-%EC%82%AC%EB%AC%BC%EC%9D%B8%ED%84%B0%EB%84%B7 컴퓨터 컴퓨터들은 모두 논리적 구조 , 즉 무엇을 계산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공통된 핵심 속성을 가진다. 비슷한 아키텍처를 갖추고 있지만, 가격, 소모, 전력, 크기 속도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휴대전화와 태블릿 PC도 일종의 컴퓨터로 , 운영쳬제를 실행하며 풍부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한다. 사물인터넷(IOT) 사물인터넷이란 다른 사물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센서와 소프트웨어, 기타 기술을 장착하고 서로 연결된 물체와 기기를 말한다. 슈퍼컴퓨터 과학기술 연산을 비롯한 ..

기술면접 준비 2022.05.31

캐시란?

https://goldenducknest.tistory.com/39 프로세서에서의 캐시는 용량이 작고 속도가 빠른 메모리인데 용량이 크지만 훨씬 느린 주 기억 장치에 매번 접근하는 것을 피하고자 최근에 사용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그룹의 데이터와 명령어에 짧은 간격으로 잇달아 여러번 접근하는데 왼쪽의 그림과 같은 일련의 수를 합산하는 프로그램과 그 메모리의 표현에서 루프에 있는 명령어 다섯 개는 입력된 수 각각에 대해 한 번씩 실행 되는데 이때 그 명령어들이 캐시에 저장되면 루프 실행 동안 매번 메모리에서 인출하지 않고, 프로그램은 메모리 작업을 기다릴 필요가 없어 실행 속도가 상승 한다. 일반적인 프로세서에는 캐시가 2~3개 있으나 흔히 L1, L2, L3레벨이라고 ..

기술면접 준비 2022.05.27

하드웨어 - 08

https://velog.io/@syk0323/cs%EB%AA%A8%ED%98%95-%EC%BB%B4%ED%93%A8%ED%84%B0%EB%A1%9C-%EB%8D%94%ED%95%98%EA%B8%B0-%ED%94%84%EB%A1%9C%EA%B7%B8%EB%9E%A8-%EB%A7%8C%EB%93%A4%EA%B8%B0 프로세서와 계산기의 다른점 프로세서의 기본 연산 산술연산 메모리에서 연산을 수행할 데이터를 가져오고 연산 결과 메모리에 저장 버스로 전송되는 신호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에 대한 입출력을 조정 🔎 프로세서가 계산기와 다른점 프로세서는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즉 계산기와 달리 사람의 개입 없이도 작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현재 처리 중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에 무슨 일을 할지 결정할 수 있..

기술면접 준비 2022.05.25

하드웨어 - 07

프로세서는 무조건 빠른 게 좋을까? 프로세서란 우리가 흔히 말하는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는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그리고 데이터 버스로 구성된 디지털 시스템의 핵심 부분으로,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로부터 읽어 연산 처리, 비교처리, 데이터 전송, 편집, 변환, 테스트와 분기 등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각종 장치를 구동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CPU - 디바이서를 총 지휘하는 프로세서 보조프로세서 - CPU 기능을 보조하는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PC나 소형 디바이스에 장착된 프로세서 1. 프로세서의 순환 사이클 프로세서는 인출, 해석, 실행 사이클을 계속 반복 수행 1. 프로세서한테 명령 2. 프로세서가 그 명령어를 해석 3. 프로세서가 ..

기술면접 준비 2022.05.24

하드웨어 - 06

https://joonokio.tistory.com/29 [이진수] 일련의 비트가 주어졌을때, 각 사이의 숫자들을 10 대신 2를 기수로 하는 자릿값으로 해석하면 어떤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십진수 일반적으로 수를 표기할때 유효숫자 앞에 오는 0은 암묵적으로 존재하지만 보통은 생략을 한다. 일상 생활에서도 0이 아닌 1부터 레이블을 붙이기 시작하는거처럼 십진수는 10의 거듭제곱의 합을 줄여 표기한 것이다. ex) 1867을 예로 들어, 1 x 10³ + 8 x 10² + 6 x 10¹ + 7 x 10⁰ -> 1 x 1000 + 8 x 100 + 6 x 10 + 7 x 1 즉, 1000 + 800 + 60 +7 이다. 이진수 기수가 10대신 2이고 사용되는 숫자가 0과 1뿐이라는 점을 빼면 십진수와 똑같다..

기술면접 준비 2022.05.24

통신 - 01

https://github.com/younbokim/TIL/blob/main/Hanghae99/CS_Study/03.telecom.md 팀장님의 정리한 글이다. 정리가 깔끔하시다. 79. 곳곳에 도사리는 위험 보안 위험은 크게 3가지 범주로 나누어짐: 클라이언트 / 서버 / 전송 중 정보에 대한 공격 이는 정보 교환 당사자(클라이언트, 서버), 정보 교환 과정(전송 중 정보)에 대한 공격으로 재분류가 가능함 클라이언트 공격 필요 이상의 정보를 제공(스팸), 클라이언트로부터 정보를 도용(피싱 및 스파이웨어 등)하는 등의 방법으로 크라이언트를 공격. 이를 통해서 클라이언트의 행동을 방해하거나 중요한 정보(개인정보 등)을 유출하는 피해가 발생. 스팸(spam): 클라이언트에게 원하지 않는 정보를 메일 등을 통..

기술면접 준비 2022.05.24

하드웨어 - 05

https://ink-language-776.notion.site/1-ab39e66c457a47f5a2067302ee58e24b 조원분의 자료를 하이라이트 하기 위해 가져왔다. 0과 1의 세계 "세상에는 오직 10가지 사람들이 존재한다. 이진수를 이해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이진법은 0과 1로만 수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독일의 철학자 라이프니츠가 발명한 수체계이다. 예를 들어 10은 1010, 100은 1100100과 같이 나타내는 방식이다. 컴퓨터 내부에서는 이진법을 사용해 모든 작업을 처리하므로, 컴퓨터 분야에서는 매우 중요합니다. 진수란? 진법으로 나타내어진 수를 의미한다 n진법이란? 0부터 n개의 숫자를 사용해서 수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즉,0~ (n-1) 까지 표현한다. n진법으로 나..

기술면접 준비 2022.05.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