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BFS(너비우선탐색) 방식: A - B - C - D - G - H - I - E - F - J
- 출발노드에서 목표노드까지 최고속으로 간다.
- 노드가 깊이 있을수록 오래걸린다
- 두개의 Queue를 사용한다
const graph = {
A: ["B", "C"],
B: ["A", "D"],
C: ["A", "G", "H", "I"],
D: ["B", "E", "F"],
E: ["D"],
F: ["D"],
G: ["C"],
H: ["C"],
I: ["C", "J"],
J: ["I"]
};
const BFS = (graph, startNode) => {
const visited = []; // 탐색을 마친 노드들
let needVisit = []; // 탐색해야할 노드들
needVisit.push(startNode); // 노드 탐색 시작
while (needVisit.length !== 0) { // 탐색해야할 노드가 남아있다면
const node = needVisit.shift(); // queue이기 때문에 선입선출, shift()를 사용한다.
if (!visited.includes(node)) { // 해당 노드가 탐색된 적 없다면
visited.push(node);
needVisit = [...needVisit, ...graph[node]];
}
}
return visited;
};
console.log(BFS(graph, "A"));
// ["A", "B", "C", "D", "G", "H", "I", "E", "F", "J"]
- DFS(깊이우선탐색) 방식: A - B - D - E - F - C - G - H - I - J
- 무조건 깊이있는 노드부터 들어간다.
- 한개의 Queue와 Stack을 사용
const DFS = (graph, startNode) => {
const visited = []; // 탐색을 마친 노드들
let needVisit = []; // 탐색해야할 노드들
// 내가 찾고자 하는 노드를 push 해준다
needVisit.push(startNode);
while (needVisit.length !== 0) {
// 탐색해야할 노드가 남아있다면
const node = needVisit.shift(); // queue이기 때문에 선입선출, shift()를 사용한다.
if (!visited.includes(node)) {
// 해당 노드가 탐색된 적 없다면
visited.push(node);
needVisit = [...graph[node], ...needVisit];
}
}
return visited;
};
console.log(DFS(graph, "I"));
728x90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deWars] Count by X - 8Kyu (0) | 2024.11.30 |
---|---|
[CodeWars] Build a square - 7Kyu (0) | 2024.11.30 |
알고리즘 에너그램 (0) | 2022.06.28 |
백준 2839번 - 설탕 배달 (0) | 2022.06.26 |
프로그래머스 Level 1 -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