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CS 스터디 조원분이 정리해준 내용이다. 오늘은 HDD와 SSD의 차이가 주된 포인트 였다.
HDD와 SSD의 차이
주 기억장치 와 보조 기억 장치
- 주 기억 장치는 정보 저장 용량이 한정적인 데다 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사라져 버린다.
- 보조 기억 장치(secondary storage)는 전원이 꺼져 있을 때도 정보를 유지한다.
주 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의 공통점과 차이점
- 보조기억장치에는 두 종류가 있다.
첫 번째는 오래된 기술이며 하드 디스크(hard disk) 또는 하드 드라이브(hard drivee)라고 칭합니다. - 두 번째는 우리가 많이 접해본 SSD(SoIid State Drive)라고 칭합니다.
- 이 두 종류의 드라이브의 공통점은 모두 메모리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하고 드라이버의 저장된 정보는 전력 공급이 없더라도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음
HDD - 하드 디스크(hard disk)
- 회전하는 금속 표면에 있는 자성 물질의 미세한 영역이 자성을 띠는 방향을 설정하여 정보를 저장함
- 데이터는 동심원을 따라나 있는 트랙에 저장되며, 디스크는 트랙 간에 이동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고 씀
- 디스크는 용량 면에서 RAM보다 바이트당 100배 정도 저렴하지만, 정보에 접근하는 속도는 더 느림
(tmi 오래된 컴퓨터가 윙윙거리고 딱깔거리면서 작동할때 분당 5,400회 이상 회전한다고 합니다!)
[사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내부
SSD(SoIid State Drive)
- 오늘날 거의 모든 노트북에는 SSD가 사용된다.
SSD는 회전하는 기계 장치 대신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 -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을 띤다. 즉, 전원이 꺼져 있어도 개별 소자에 전하(charge)를 유지하는 회로에 정보가 전하 형태로 저장
- 플래시 메모리는 기존의 디스크 저장 장치보다 단단하고 빠르고 가볍고 안정적이며, 전력을 더 적게 사용하므로 휴대전화나 카메라 같은 제품에도 사용됨
추상화(absraction)
- 물리적인 구현의 세부 사항을 숨김
- 파일 시스템은 다양한 기술의 물리적 작동 방식과 관계 없이 그 내용을 사용자에게 파일과 폴더의 계층 구조로 보여 준다.
다른 장치들
- 주 기억 장치, 프로세서, 보조 기억 장치, 디스플레이, 키보드, 터치패드, 마우스, 카메라, 스피커 등등.. 컴퓨터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그 중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버스(bus)라는 여러 개의 전선이 있어 서로 연결된다.
[사진] 단순하게 추상화한 컴퓨터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 버스라는 용어는 전기 공학에서 빌려 온 것이다. 실제로는 컴퓨터 내부에 여러 가지 버스가 있고, 각각 그 기능에 적합한 속성이 있다.
-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를 연결하는 버스는 짧고 빠르지만 비싼 반면, 헤드폰 잭에 연결되는 버스는 길고 느리지만 저렴하다. 일부 버스는 외부에 드러나 있기도 하다. 그 예로는 컴퓨터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어디서나 사용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를 들 수 있다.
728x90
'기술면접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웨어 - 04 (0) | 2022.05.20 |
---|---|
하드웨어 - 03 (0) | 2022.05.19 |
자바스크립트나 제이쿼리 개발자에게 React로 개발하라고 설득하고 싶다면, 어떤 이유를 들어서 설득시키겠는가? (0) | 2022.05.19 |
하드웨어 - 01 (0) | 2022.05.17 |
거품, 선택, 삽입 정렬 (0) | 2022.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