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rta/항해99

항해99 - 4일차 (WIL)

또롱또 2022. 5. 12. 08:34
728x90
오늘의 목표
스파르타 강의 x
팀공부 @app.route() 에 대한 정리
API란
정규표현식
타입에러 decode('utf-8')
팀작업 가비아도메인
유튜브 데모영상 준비
썸네일 준비
질문시간
회고질문 준비
개인공부 네이버 홈페이지 클론코딩
전산학공부 1일 1로그 100일 완성 004 ~ 006
알고리즘공부 프로그래머스 1단계 1문제
백준 2단계 조건문
개인작업 React - Sign in 페이지 완성

@app.route()- https://devkevin0408.tistory.com/101

API 란 - https://devkevin0408.tistory.com/100

정규표현식 - https://devkevin0408.tistory.com/98

타입에러 - https://devkevin0408.tistory.com/99

 

블로그 스킬이 늘었다.

바보같이 일렬로 난사하지말고 따로 포스팅을해서 링크를 주는게 더 보기 좋다.

코딩도 보면 너무 긴 코드면 다른 파일로 돌리고 링크하듯이

블로그도 이렇게 하면 되는데 너무 늦게 깨달음을 얻었다.

 

처음으로 팀으로 이루어져서 만든 프로젝트.

https://github.com/kevinkim910408/MiniProject_Doglovers

 

너무 값진 프로젝트인거 같다.

프로젝트의 완성도도 우리가 예상했던거 만큼 구현이 되었고,

생각보다 어려웠던 문제에 시달리지도 않았다.

 

웹 공부를 시작한지는 벌써 3개월이 넘어가는데, 

매번 혼자서 모든걸 담당해서 만들고 문제가 생기면 혼자 머리싸고 이랬었는데

팀에게 의지를 할수도있었고 의견충돌도 없었고,

서로 모르는거에 대해서 잘 알아가기도 하고너무 딱딱한 분위기 속에서 코딩만 주구장창 하지도 않았고, 

 누군가가 강요하는 프로젝트도 아니었고

여러모로 배울점이 참 많았던 프로젝트 였다.

 

1주차가 끝나고 이제 새로운 팀원들과 또 여정이 시작되겠지만,나중에 또 다시 만나서 팀이 형성됬으면 좋겠다.

 

https://hanghae99.spartacodingclub.kr/exhibitions/mini1/7/A

 

 

5/14 추가

WIL을 제출해야해서 키워드를 추가하자면,

JWT란 Json format으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수 있는 Web Token 이다.( Json Web Token)
다수의 도메인, 선택적인 권한 부여

장점: 토큰을 이용함 (토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해서 주고받기 때문에, 별도의 인증이 필요없음)

세션과 토큰의 차이비교

 

API는 글 중간에 링크가 되어있고

이번주 배운점 느낀점은 협업능력이다.

728x90